[노개북 TIL] IT 5분 잡학사전 #4
포스트
취소

[노개북 TIL] IT 5분 잡학사전 #4

오늘 TIL 3줄 요약


  • 인터넷 홈페이지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쿠키를 사용한다.
  • 프런트엔드와 백엔드, 그리고 데브 옵스까지 다룰 수 있다면 풀스택 개발자라고 할 수 있다.
  • 서버리스는 실제 서버가 없다는 의미가 아니라 관리할 부분이 적은 서버를 말한다고 할 수 있다.

오늘 읽은 범위


  • 에피소드 16.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사라진 이유와 브라우저 엔진
  • 에피소드 17. 아, 쿠키가 먹는게 아니라고요?
  • 에피소드 18. 프런트엔드, 백엔드?
  • 에피소드 19. 서버가 뭔지 아직도 모른다고?
  • 에피소드 20. 슈퍼 개발자만 할 수 있다, 풀스택?
  • 에피소드 21. 서버리스는 서버가 없다는 뜻?

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


에피소드 16.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사라진 이유와 브라우저 엔진

  • 신 기술을 빠르게 지원하던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점유율 95%로 독점에 가까운 시절이 있었다.
  • 업데이트를 게을리하며 뒤쳐진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버려졌고 마이크로소프트는 크롬과 같은 블링크를 사용하는 엣지라는 브라우저를 만들었다.

에피소드 17. 아, 쿠키가 먹는게 아니라고요?

  • 인터넷에 사용하는 HTTP 프로토콜은 매번 새로 연결하기 때문에 정보를 기억하는 용도로 쿠키를 사용한다.
  • 쿠키는 도메인 1개에만 한정한다.
  • 쿠키는 자동으로 보낸다.
  • 쿠키는 컴퓨터에 자동으로 저장된다.

에피소드 18. 프런트엔드, 백엔드?

  • 프런트엔드
    • 실제 보이는 화면을 개발
    • 자바스크립트 피로(Javascript fatigue)라는 단어가 있을 정도로 변화가 빨라서 계속 공부해야한다.
  • 백엔드
    • 실제 웹사이트의 뒷쪽 서버를 개발
    • 기술의 선택지가 다양
    • 사용자가 실제 사용하는 부분에 노출되지 않아서 흥미가 떨어진다.

에피소드 19. 서버가 뭔지 아직도 모른다고?

  • 서버는 그냥 컴퓨터다.
  • 인터넷에 항상 연결되어있어 사용자의 요청을 기다린다.

에피소드 20. 슈퍼 개발자만 할 수 있다, 풀스택?

  • 풀스택은 프런트엔드, 백엔드, 데브옵스다.
  • 개발 뿐 아니라 서버 배포, 관리까지 전부 할 수 있어야한다.
  • 풀스택 개발자 1명만 채용하는 회사는 모든 일을 한사람에게 맡기는 위험한 회사일 수 있다.

에피소드 21. 서버리스는 서버가 없다는 뜻?

  • 서버리스는 직접 관리하는 서버가 없다는 뜻.
  • 서버리스는 기능을 위한 작은 함수 단위로 쪼개서 서버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재워놓다가, 함수가 필요할 때만 서버를 깨워서 처리한다.
  • 잠을 자던 서버가 깰 때는 시간이 필요하다. (cold start)
  • 서버 제공자가 제공하는 함수 형태에 맞게 함수가 작성되어야 해서 쉽게 다른 서비스로 옮기는게 쉽지 않다.
  • 자세한 서버 설정이 비교적 필요없는 사이드 프로젝트나 빠르게 출시하고 싶은 서비스를 만들 때 추천한다.

오늘 읽은 소감은?


  • 서버리스를 실제 서비스에 활용해본적은 없고 AWS Gamelift에 언리얼 DS를 올리는 샘플에서 AWS람다를 이용해서 Gamelift에 올려진 DS중에 접속 가능한 DS를 선택해서 연결해주는 정도로 사용하는 예제를 따라한 적이 있는데, 그 때는 대충 있는 코드 따라해서 그런가보다 했는데, 다시 생각해보면 서버리스 없이는 별도 매칭 서버를 구성해야 하는거 아닌가? 라는 생각이 든다. 서버 대신 함수 하나로 다 대체할 수 있었으니 엄청 편했던게 아닐까?
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.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.

[노개북 TIL] IT 5분 잡학사전 #3

[노개북 TIL] IT 5분 잡학사전 #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