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노개북 TIL] IT 5분 잡학사전 #6
포스트
취소

[노개북 TIL] IT 5분 잡학사전 #6

오늘 TIL 3줄 요약


  • 데이터를 정렬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.
  • 스택과 큐는 추상 데이터 타입으로 실제 구현체는 정해지지 않았다.
  • 해시 테이블은 배열과 해시 함수로 구성되어 빠르게 데이터를 찾을 수 있다.

오늘 읽은 범위


  • 에피소드 26. 정렬 알고리즘이 뭐죠?
  • 에피소드 27. 스택, 큐가 뭐죠?
  • 에피소드 28. 해시 테이블이 뭐죠?
  • 에피소드 29. 개발자 필수 소양, 클린 코드!

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


에피소드 26. 정렬 알고리즘이 뭐죠?

  • 버블 정렬, 선택 정렬, 삽입 정렬은 모두 O(n2)
  • 시간복잡도가 같더라도 평균적으로 빠른 알고리즘이 있을 수 있다.

에피소드 27. 스택, 큐가 뭐죠?

  • 큐와 스택은 추상 자료구조(abstract data type, ADT)이다.
  • 스택은 LIFO
  • 큐는 FIFO

에피소드 28. 해시 테이블이 뭐죠?

  • 해시 테이블은 배열과 키로 사용되는 데이터를 인덱스로 변환하는 해시 함수로 구성된다.
  • 인덱스가 충돌하는 경우에 충돌 데이터를 처리해야할 수도 있다.
  • 시간복잡도는 기본적으로 O(1)이지만 충돌 처리 등으로 더 느릴 수 있다.

에피소드 29. 개발자 필수 소양, 클린 코드!

  • 코드를 더 알라보기 편하게 알려진 규칙을 클린 코드라고 한다.

오늘 읽은 소감은?


  • 스택 큐 까지는 잘 기억에 남아있지만 해시 테이블은 매번 잊어버리는 것 같다.. 다시 잘 넣어놔야지..
  • 클린 코드는 책을 읽기도 했지만 여기서 소개된 다섯가지도 완벽하게 잘 지킨 적은 없는 것 같다.
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.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.

[노개북 TIL] IT 5분 잡학사전 #5

[노개북 TIL] IT 5분 잡학사전 #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