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노개북 TIL] IT 5분 잡학사전 #8
포스트
취소

[노개북 TIL] IT 5분 잡학사전 #8

오늘 TIL 3줄 요약


  • 비밀번호를 저장할 때는 솔트를 추가해서 해시 함수를 통해서 저장한다.
  •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은 프로그래밍을 할 때 관점, 방식등을 말한다.
  •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선언형 프로그래밍 콘셉트를 유지한다.

오늘 읽은 범위


  • 에피소드 35. 비밀번호는 어떻게 저장될까?
  • 에피소드 36-37.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 뭐죠?
  • 에피소드 38. 함수형 프로그래밍이 뭐죠?

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


에피소드 35. 비밀번호는 어떻게 저장될까?

  • 해시 함수를 사용해서 암호를 저장한다.
    • 해시함수는 동일한 입력값에 대해 동일한 출력값을 가진다.
    • 해시함수는 입력값이 아주 살짝만 바뀌어도 출력값은 엄청나게 크게 바뀐다.
    • 해시함수는 반대로 입력한다고 해서 원래 값이 나오지 않는다.
    • 해시함수도 레인보우 테이블이 노출되면 원래 암호가 노출될 수 있다.
  • 기존 암호에 솔트를 추가해서 해시함수를 사용해서 저장해서 암호를 찾을 수 없도록 한다.

에피소드 36-37.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 뭐죠?

  • 클래스를 통해서 공통되는 속성을 묶는 것
  • 클래스들간에 공통되는 속성을 묶어서 정의하고 다른 부분은 별도 클래스에서 상속받아 확장할 수 있다.

에피소드 38. 함수형 프로그래밍이 뭐죠?

  • 선언형 프로그래밍은 원하는 결괏값을 선언한다.
  • 명령형 프로그래밍은 결괏값에 어떻게 도달하는지 선언한다.
  •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함수 중심으로 코드를 작성해서 선언형 프로그래밍 콘셉트를 유지한다.

오늘 읽은 소감은?


  • 로그인관련 기능을 구현할 떄 직접 DB에 계정 정보를 저장하기 보다 Firebase와 같이 외부 인증 API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경험해본적이 없는 것같다. 한번쯤 구현해보는것도 경험에 도움이 될 것같다.
  •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나 함수형 프로그래밍 관련된 내용은 너무 요약된 내용이라 관련 내용을 모른다면 이해하기 어려울 것 같다.
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.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.

[노개북 TIL] IT 5분 잡학사전 #7

[노개북 TIL] IT 5분 잡학사전 #9